• 네이버 블로그 바로가기
  •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 유튜브 바로가기
전화예약 1577·4488 + 1

  • 부인과 검사 또는 임신 전 검사를 받고 싶은데 적절한 시기와 절차는 어떻게 되며 결과는 언제쯤 나옵니까?
    부인과 검사는 보통 초음파, 자궁경부암 검사가 있고 그외 상담 후 추가적인 혈액 검사들을 하시게 됩니다. 임신 전 검사는 초음파, 자궁경부암검사, 풍진검사가 기본적이고 그외에 추가적으로 원하시면 에이즈, 성병검사, 빈혈검사, 간염 검사 등이 있고 주치의와 상담 후 결정 하십시오. 검사 시기는 생리 후 약 2-3일 내에 오시고 검사결과는 초음파 검사는 당일, 그 외 자궁경부암검사, 혈액검사는 약 1주일 걸립니다. 그리고 유방검사는 외과의 유방전문 선생님을 뵙고 정확한 진단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 검사 결과 문의는 어떻게 하나요?
    자궁경부암검사는 신청자에 한해 문자메세지로 보내드리거나 신청하시지 않은 경우 상담실에서 검사 결과를 알려드리고 있습니다. 그 외에 혈액검사나 여러 가지 검사는 주치의의 허락하에 확인을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부득이한 경우에는 주치의와 통화하신 후 결과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차트복사, 진단서, 입퇴원 확인서, 소견서 등이 필요할 경우 어떻게 합니까?
    의무기록 사본이나 진단서, 입퇴원 확인서, 소견서 등은 모두 직접 내원하셔서 받아 가셔야 합니다. 그 이유는 의무기록 사본은 의료법상 함부로 외부에 누출 시킬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반드시 내원하셔야 합니다. 부득이한 경우에는 대리인 제도를 이용하시는 방법도 있습니다. 그럴 경우는 대리인에게 위임장과 인감증명서, 신분증을 함께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난소의 혹이 있다고 합니다. 어떻게 하나요?
    난소의 혹은 생겼다 없어졌다 하는 물혹과 없어지지 않는 종양으로 구분됩니다. 종양에는 양성과 악성으로 구분을 하는데 양성과 악성의 경우 다양한 방법의 검사종류가 있지만 직접 조직검사를 통하여 확진을 합니다. 난소는 뱃속의 장기이기 때문에 조직검사는 수술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초음파 검사나 CT, MRI가 선행되기도 하며 내원 후 주치의와 면담을 하시기 바랍니다.
  • 음부에 물집이 생겼어요.(음부포진)
    헤르페스 바이러스에 걸리면 머리가 아프고 전신 무력감, 미열 등이 주증상이며 3-7일 정도 지나면 생식기의 감염부위에 여러 개의 물집이 나타나게 됩니다. 수포가 터지면 움푹 패여 궤양으로 변하고 더 이상의 세균의 감염만 없다면 10여일 후 저절로 치유가 됩니다. 음부포진 발생 시에는 신속하고 확실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며 과음, 과로, 스트레스를 줄이시기 바랍니다.
  • 요실금이 있습니다. 치료 방법은 어떤가요?
    요실금에는 크게 복압성과 절박성 요실금 두 가지가 있습니다. 복압성 요실금은 웃거나 재채기, 뜀뛰기 등을 할 때 자신도 모르게 소변이 새는 현상으로 심하면 걷거나 앉아 있는 상태에서도 소변이 나오게 됩니다. 이때의 방광의 기능은 정상입니다. 절박성 요실금은 방광이 비정상적으로 수축하여 소변이 새는 것으로 소변이 자주 마렵거나 참기가 힘든 경우로 요 절박감이 나타나며 소변이 새게 됩니다. 치료는 크게 약물이나 골반운동, 전기자극과 같은 요법이 있고 수술요법도 있습니다
  • 포상기태가 무엇인가요?
    포상기태는 태반의 영양막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는 질환입니다. 이 때 크기가1~30mm에 이를 정도로 큰 융모가 포도송이 같은 모습으로 자궁 내강을 채우므로 포상기태 혹은 포도송이기태라고 합니다. 진단 및 치료는 흡입 소파술로 조직들을 제거 후 조직검사를 하고 향 후 융모성 성선 자극 호르몬(-HCG) 피검사로 추적 관찰을 합니다. 추적 관찰 중 이상이 있는 경우 드물게 약물요법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난소암 검사 및 진단,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난소암은 난소에 생기는 악성종양이며, 난소암 검사는 초음파 검사와 추가적인 피검사가 있을 수 있습니다. 난소암의 진단은 수술적인 방법으로만 진단이 가능하며, 치료는 진행 상태에 따라 수술 및 항암치료로 이어집니다.
  • 자궁 선근종이 무엇입니까?
    일종의 자궁에 생기는 자궁 내막종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선근종과 자궁 내막종은 증상이 매우 비슷합니다. 자궁 선근종은 자궁 근육층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생리통이나 출혈이 심한 것이 특징입니다. 자궁근종은 자궁에 경계가 분명한 혹이 생기는 것이므로 선근종과는 약간 구분이 되어집니다.
  • 자궁외 임신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자궁밖의 임신이란 자궁내막이 있는 자궁 체부이외의 장소에 수정란이 착상한 상태입니다. 즉, 태아가 정상적으로 자라고 출산할 수 없는 위치에 임신된 상태를 말합니다. 자궁외 임신이 의심되면 혈액을 통한 β-HCG 검사와 초음파 검사를 동시에 하게 되며 확진은 수술로 하게 됩니다. 복강내 출혈을 일으키면 위험하므로 즉각 조치가 이루어져야 합니다.